김진우 (1983년 3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진우는 1983년 3월에 태어난 전 야구 선수이다. 광주진흥고등학교 재학 시절 봉황대기 최우수 선수상과 투수상을 수상하며 두각을 나타냈고, 2002년 KIA 타이거즈에 입단하여 데뷔 첫 해 탈삼진왕을 차지하는 등 활약했다. 이후 일본 독립리그와 멕시코 프로야구 리그에서 활동했으며, KIA 타이거즈에 복귀하여 선수 생활을 이어갔다. 2018년 질롱 코리아에서 호주 프로야구 리그에서 활동하였고, 2022년에는 JTBC 예능 프로그램 '오버 더 톱'에 출연했다. KBO 통산 13시즌 동안 247경기에 출전하여 74승을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멕시코에 거주한 대한민국인 - 이슬기 (아나운서)
이슬기는 2010년 YTN 기상캐스터를 거쳐 2011년부터 KBS 아나운서로 활동하며 뉴스, 교양, 예능 프로그램 진행을 맡고 있으며 현재 KBS 3시 뉴스타임과 KBS 쿨FM 상쾌한 아침을 진행하고 있다. - 멕시코에 거주한 대한민국인 - 와디드
와디드는 대한민국의 전 프로게이머이자 해설가이며, 2016년 선수 경력을 시작하여 여러 팀에서 활동했고, G2 e스포츠 소속으로 2018년 롤드컵 4강에 진출했으며, 해설가로 활동하다 2022년 계정 공유 사건으로 자낳대 감독직에서 물러났다. - 술타네스 데 몬테레이 선수 - 브라울리오 라라
브라울리오 라라는 도미니카 공화국 출신의 야구 선수로, KBO 리그 SK 와이번스에서 활동했으며, 2024년 교통사고로 사망했다. - 술타네스 데 몬테레이 선수 - 마이클 앤더슨 (야구 선수)
- 광주진흥중학교 동문 - 김상진 (1977년)
해태 타이거즈의 전 야구 선수 김상진은 1997년 한국시리즈에서 최연소 완투승을 기록하며 팀 우승에 기여했지만, 위암으로 투병 중 1999년에 23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 광주진흥중학교 동문 - 손주인
손주인은 삼성 라이온즈에 입단하여 LG 트윈스에서 '2루의 주인'이라는 별명을 얻으며 주전 2루수로 활약한 프로야구 선수 출신으로, 은퇴 후 삼성 라이온즈 프런트 임원을 거쳐 현재 코치로 재직 중이다.
김진우 (1983년 3월)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김진우 |
원어 이름 | Kim Jin-Woo |
출생일 | 1983년 3월 7일 |
국적 | 대한민국 |
출생지 |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
신장 | 193 |
체중 | 117 |
포지션 | 투수 |
투구 | 우 |
타석 | 우 |
등번호 | 11 |
선수 경력 | |
프로 입단 연도 | 2002년 |
드래프트 순위 | 2002년 1차 지명(KIA 타이거즈) |
소속 구단 | KIA 타이거즈 (2002년 ~ 2007년, 2010년 ~ 2017년) 서울 해치 (2010년) 질롱 코리아 (2018년 ~ 2019년) 술탄네스 데 몬테레이 (2019년) |
KBO 리그 기록 | |
첫 출장 | 2002년 4월 9일 광주 대 현대전 선발 |
마지막 경기 | 2017년 9월 7일 광주 대 한화전 선발 |
승-패 | 70승 54패 |
세이브 | 6 |
평균 자책점 | 3.93 |
탈삼진 | 925 |
기타 리그 기록 | |
ABL 첫 출장 | 2018년 11월 24일 |
LMB 첫 출장 | 2019년 4월 8일 |
ABL 마지막 경기 | 2019년 |
수상 경력 | |
주요 수상 | 2002년 KBO 탈삼진왕 2002년 아시안 게임 금메달 2012년 조아제약 프로야구대상 '재기상' |
계약 정보 | |
계약금 | 7억원 |
국가대표 경력 | |
대표 국가 | 대한민국 |
아시안 게임 | 2002년 부산 |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 | 2003년 삿포로 |
메달 | |
메달 정보 |
2. 아마추어 시절
광주진흥고 2학년 때인 2000년 제30회 봉황대기 결승전에서 순천 효천고를 상대로 승리하며 팀을 야구부 창설 이후 27년 만에 첫 중앙 무대 우승으로 이끌었다. 대회에서 최우수 선수상과 투수상을 모두 수상했다. 3학년 때인 2001년에는 진흥고를 제35회 대통령배 전국 고교 야구 대회와 제82회 전국 체육 대회 우승, 제56회 청룡기 전국 고교 야구 선수권 대회 준우승으로 이끌었다.
2002년 신인 드래프트를 통해 KIA 타이거즈에 입단하여 프로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이후 2007년 팀을 이탈했고, 구단으로부터 임의 탈퇴 처분을 받았다.[3][4][5]
3. [[한국 프로야구]] 시절
3. 1. [[KIA 타이거즈]] 시절 (1차)
KIA 타이거즈에 2002년 신인으로는 역대 최고 계약금인 7억원을 받으며 입단했다. 데뷔 첫 해 탈삼진왕에 등극하는 등 저력을 보여줬는데, 한때 시애틀과 계약 성사 직전까지 갔으나 아들 혼자 외국에 보내는 것이 아팠던 어머니의 모습을 보고 미국행 대신[3] 한국행을 택했다.
방어율은 높은 편이었으나 조정 방어율은 그렇지 않았다. 150km/h 강속구와 폭포수 커브를 주무기로 잡는 투수로 탈삼진은 많았으나 4사구 개수가 많은 것이 그의 제구력을 여실히 보여줬다. 기대에는 못 미쳤으나 2002~2006년에 안정적인 모습을 보여줬고, 데뷔 첫 해에는 아시안 게임 대표팀에도 발탁되어 금메달도 획득했다. 그러나 2007년 갑자기 엄청난 난조를 보이며 8점대 방어율을 기록하는 등 사상 최악의 성적을 올리고 팀을 이탈했다. 이에 앞서 2004년 시즌 전 벌어진 '국토 대장정' 과정에서[4] 무릎 부상을 당했으며, '국토 대장정' 사건 이후 본인 외에도 이종범이 체력 저하로 인해 시즌 중 부진을 면치 못했고, 고질적인 무릎 부상에 시달린 홍세완, 햄스트링 부상이 있었던 박재홍이 1년 내내 부상과 사투를 벌여야 했다. 2004년 국토 대장정 당시 감독이었던 김성한은 소위 '국토 대장정' 사건뿐만 아니라 '김성한 구타 사건' 때문에[5] 물의를 빚어 2004년 시즌 도중 물러났다. 몇 차례 복귀 의사를 밝혔으나 또 다시 이탈했고, 결국 구단에서 임의 탈퇴 처분을 내렸다.
4. 일본 독립리그 시절
김진우는 2007년 일본 독립 리그 팀인 서울 해치에 입단하여 활동하다가, 2010년 6월 팀을 떠났다.
4. 1. [[서울 해치]] 시절
2010년에 서울 해치에 입단하였고, 그 해 6월에 팀을 떠났다.5. [[한국 프로야구]] 복귀
조범현 감독의 요청으로 2010년 8월 29일 KIA 타이거즈에 복귀하여 그해 11월부터 팀 훈련에 합류했다. 2011년 4월 30일 임의 탈퇴가 해제되었고, 2군을 거쳐 2011년 6월 17일 1군에 합류하여[6] 삼성 라이온즈를 상대로 1이닝 무실점 투구를 했다.[7] 2012년 5월 9일 한화 이글스전에 선발 투수로 등판하여 1,791일만에 선발 승을 기록했다.[8] 2018년 10월 19일에 방출되었다.[9]
5. 1. [[KIA 타이거즈]] 시절 (2차)
조범현 감독의 지속적인 복귀 요청과 오랜 기다림 끝에 선수단 및 코치진 회의를 통해 2010년 8월 29일 KIA 타이거즈로 복귀, 11월부터 팀 훈련에 합류했다. 끊임없는 노력으로 2011년 4월 30일 임의 탈퇴가 해제되어 2군 훈련에 다시 합류했으며, 2011년 6월 17일에는 2007년 7월 6일 이후 1446일(3년 11개월 11일) 만에 1군에 합류했다.[6] 삼성 라이온즈와의 경기에서 1이닝 무실점 투구를 하며 성공적인 복귀를 알렸다.[7] 2012년 5월 9일 한화 이글스와의 경기에서 선발 투수로 등판, 1,791일 만에 선발승을 기록했다.[8] 2018년 10월 19일에 방출되었다.[9]6. 호주 프로야구 시절
호주 프로야구 참가 당시의 내용이다. 2018년 10월 29일에 질롱 코리아에 입단하였다.[10]
6. 1. [[질롱 코리아]] 시절
2018년 10월 29일에 질롱 코리아에 입단하였다.[10]7. 멕시코 프로야구 시절
2019년에 술탄네스 데 몬테레이에 입단하였다.
7. 1. [[술탄네스 데 몬테레이]] 시절
2019년에 술탄네스 데 몬테레이에 입단하여 멕시코 프로야구 리그에서 활동했다.[1]8. 은퇴 이후
2022년 JTBC 예능 프로그램 오버 더 톱에 참가했다.[1]
9. 구단과의 파행 일지
날짜 | 사건 |
---|---|
2007년 7월 11일 | 2군 선수단에서 무단 이탈, 연락 두절 |
2007년 7월 31일 | 임의 탈퇴 선수 공시 |
2007년 12월 5일 | 모교인 광주 진흥고에서 복귀 훈련 시작 |
2007년 12월 11일 | 잠적 후 5개월 만에 복귀 의사 공식 표명 |
2008년 7월 20일 | 예비군 상습 불참으로 지명 수배 |
2008년 10월 초 | KIA 타이거즈에서 비밀리에 외부 코치 지원 |
2008년 11월 중순 | 훈련 중단 후 잠적 |
2008년 11월 27일 | 자신의 홈페이지에서 복귀 의사 표명 |
2009년 1월 24일 | 경찰 야구단 훈련 합류 |
2009년 4월 말 | 구단 관계자와의 복귀 논의 약속 불이행 |
10. 출신 학교
11. 등번호
연도 | 등번호 |
---|---|
2002년 | 41 |
2003년 ~ 2005년 | 55 |
2006년 ~ 2007년 | 34 |
2011년 ~ 2014년 | 49 |
2015년 ~ 2016년 | 94 |
2017년 | 11 |
2018년 | 022 |
12. 에피소드
그는 '제2의 선동열'이라는 소리를 들을 정도로 촉망받는 유망주 투수였다. 입단 당시 KIA 타이거즈의 영구 결번으로 지정되어 있었던 선동열의 영구 결번을 해제하고 그에게 줄 예정이었으나 선동열의 영향력이 너무 크고 또 야구 팬들의 비난도 심해서 무산됐다.[1]
13. 통산 기록
연도 | 팀명 | 평균자책점 | 경기 | 완투 | 완봉 | 승 | 패 | 세 | 홀 | 승률 | 타자 | 이닝 | 피안타 | 피홈런 | 볼넷 | 사구 | 탈삼진 | 실점 | 자책점 | 비고 |
---|---|---|---|---|---|---|---|---|---|---|---|---|---|---|---|---|---|---|---|---|
2002 | KIA | 4.07 | 33 | 4 | 1 | 12 | 11 | 0 | 0 | 0.522 | 818 | 188 | 201 | 20 | 67 | 11 | 177 | 94 | 85 | 부산 아시안 게임 대표 선수, 삼진왕 |
2003 | 3.45 | 24 | 4 | 2 | 11 | 5 | 0 | 0 | 0.688 | 707 | 169.1 | 150 | 9 | 63 | 12 | 146 | 68 | 65 | ||
2004 | 2.86 | 19 | 0 | 0 | 7 | 2 | 1 | 0 | 0.778 | 269 | 63 | 49 | 2 | 33 | 3 | 57 | 23 | 20 | ||
2005 | 3.91 | 31 | 6 | 1 | 6 | 10 | 1 | 0 | 0.375 | 623 | 145 | 126 | 10 | 61 | 12 | 123 | 71 | 63 | ||
2006 | 2.69 | 20 | 0 | 0 | 10 | 4 | 0 | 0 | 0.714 | 489 | 117 | 94 | 3 | 51 | 12 | 65 | 38 | 35 | ||
2007 | 8.35 | 5 | 0 | 0 | 1 | 2 | 0 | 0 | 0.333 | 95 | 18.1 | 14 | 0 | 23 | 6 | 17 | 19 | 17 | ||
2011 | 5.19 | 10 | 0 | 0 | 0 | 1 | 2 | 0 | 0.000 | 41 | 8.2 | 6 | 0 | 7 | 1 | 12 | 5 | 5 | ||
2012 | 2.90 | 24 | 2 | 1 | 10 | 5 | 0 | 0 | 0.667 | 558 | 133.2 | 110 | 2 | 50 | 10 | 101 | 47 | 43 | ||
2013 | 4.99 | 24 | 0 | 0 | 9 | 10 | 1 | 0 | 0.474 | 577 | 126.1 | 147 | 8 | 49 | 13 | 130 | 77 | 70 | ||
2014 | 5.96 | 28 | 0 | 0 | 3 | 4 | 1 | 1 | 0.429 | 429 | 90.2 | 100 | 8 | 61 | 7 | 85 | 66 | 60 | ||
2015 | 3.45 | 4 | 0 | 0 | 1 | 0 | 0 | 1 | 1.000 | 55 | 13 | 12 | 1 | 9 | 1 | 12 | 5 | 5 | ||
2016 | 4.80 | 11 | 0 | 0 | 2 | 1 | 0 | 2 | 0.667 | 65 | 15 | 16 | 3 | 5 | 2 | 10 | 8 | 8 | ||
2017 | 7.93 | 14 | 0 | 0 | 2 | 6 | 0 | 0 | 0.250 | 183 | 36.1 | 52 | 5 | 23 | 7 | 21 | 33 | 32 | ||
통산 | 13시즌 | 4.07 | 247 | 16 | 5 | 74 | 61 | 6 | 4 | 0.548 | 4909 | 1124.1 | 1077 | 71 | 502 | 97 | 956 | 554 | 508 |
참조
[1]
웹사이트
"[단독] 최준석→정다운, '오버 더 톱' 참가…팔씨름 최강자 도전"
https://entertain.na[...]
X-ports News
2022-10-14
[2]
간행물
한국야구위원회, 2014 가이드북
[3]
뉴스
"[이영미 人터뷰] 후회로 점철된 야구 인생, ‘투수 김진우’를 내려놓기 까지"
https://m.sports.nav[...]
이영미 칼럼
2024-10-09
[4]
뉴스
기아 120km 종주 'V10 한마음'
http://sports.hankoo[...]
스포츠한국(스포츠투데이)
2022-03-16
[5]
뉴스
사라지지 않는 체육계 '구타 관행'
http://sports.hankoo[...]
스포츠한국(연합뉴스)
2022-03-16
[6]
뉴스
KIA 김진우 등록 外 -스포츠서울
http://news.sportsse[...]
[7]
뉴스
KIA 김진우, 인상적 복귀전…수비 시프트 눈길 -엑스포츠뉴스
http://xportsnews.ha[...]
[8]
뉴스
"'151km' 김진우의 화려한 부활이 주는 의미"
https://news.naver.c[...]
OSEN
[9]
뉴스
KIA, 김진우 등 14명 방출…대규모 선수 정리 나섰다
http://www.etoday.co[...]
이투데이
[10]
뉴스
김진우·이재곤, 호주프로야구 질롱 코리아 합류
https://www.yna.co.k[...]
연합뉴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